본문 바로가기

Made by me/하루한끼

초간단 김치 반찬 무생채 무침 만들기(비빔밥 덤)

반응형

갑자기 비빔밥 무척 당기는 어느 날
원래는 비빔밥 해서 먹으려면 색깔 있는 채소들 고명으로 골고루 준비해줘야 하지만, 
재료가 없는 경우.....
무 하나만 있으면 간단하게 김치로 만들어서 밥반찬, 또는  밥과 비벼 먹을 수 있는
 비빔밥 재료로 손색 없는 무생채(무우생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무생채는 비교적 손쉽게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게 큰 장점이기도 한 김치이자 반찬이랍니다.
 

 
📢 준비재료
무 반개, 
고춧가루, 마늘, 까나리액젓, 매실액
 
 

 
 
요즘 가을무라고 해서 시장에 가면 만나 보실 수 있는데요, 
무는 깨끗하게 씻어 반 정도 준비합니다. 
1-2 두끼 드신양으로 만든다면 무는 반개 정도가 적당합니다.
 
 

 

 
무는 채칼을 이용하여 길쭉길쭉하게 썰어줍니다.

 
 

 
 
 

하얀 속살을 자랑하는 무를 양푼에 준비한 다음
 
 

 
 

소금을 한 스푼 넣고 골고루 섞어  절이는 작업을 해줍니다.
 
 

 
 

15분 정도 절여 주고 난 후 흐르는 물에 살짝 씻어줍니다.
 
 

 

 
채반에 올려 물기를 빼주는 작업을 해줍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지, 추후 무생채 국물이 많이 생기지 않습니다.
 
 

 

 
물기 빠진 무생채를 양푼에 다시 옮겨 담은 후 고춧가루 한 스푼 넣고,
 
 

 
 
조물조물 무쳐 색깔 입히는 작업을 1차적으로 해줍니다.
이러한 작업은  빨간색이 물들면서 무생채를  더욱 먹음직스럽게 해 준답니다.
 
 

 
 
사진상에 무생채에 빨간빛이 돌면 고춧가루 1스푼을 추가적으로 넣고
 
 

 
 

마늘, 까나리 액젓, 매실액 등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줍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설탕 or 미원 등을 넣어 주면 맛이 극대화되긴 합니다. ㅎㅎ(전 pass)
 
 

 
 
초간단 반찬이자, 비빔밥 속재료와  찰떡인 무생채(무우생채) 무침 완성입니다. 
 
 

 
 
식초를 안 넣어 그런지  새콤한 맛은 없지만, 
김치에 식초맛이 너무 나면 초무침 느낌이 너무 강해, 심심하게 만들었지만
밥반찬으로 손색없습니다. 
 
 

 
 
무생채 놓고 먹다 보면 비빔밥이 간절하게 생각나죠?
달걀 프라이 하나 살짝 부쳐 줍니다.
 
 

 
 
밥그릇에 밥 조금 푼 다음 집에 있는 상추 잘라주고
무생채와 달걀 프라이 하나, 고추장 조금  올린 후 참기름 뿌려줍니다.
 
 
 

 
 
막 비벼 먹는 비빔밥은 역시나 꿀맛입니다. 
 가끔 입맛 없을 때  가성비 반찬으로  무얼 먹을까 고민하지 말고 
무생채 무침 간단하게 만들어 드셔 보세요. 

 

반응형